IPv4 (2) 썸네일형 리스트형 IPv4의 조각화 IPv4의 조각화 ▶ 조각화란 큰 IP 패킷들이 적은 MTU ( Maximum transmisson Unit )을 갖는 링크를 통하여 전송되려면 여러 개의 작은 패킷으로 쪼개어 조각화 되어 전송되어야 한다. ▶ 즉 목적지까지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에 통과하는 각 라우터마다 전송에 적합한 프레임으로 변환이 필요하다. ▶ 일단 조각화되면, 최종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재조립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며 IPv4에서는 발신지 뿐만 아니라, 중간 라우터에서도 IP 조각화가 가는 하고 IPv6에서는 IP 단편화가 발신지에서만 가능하며, 재조립은 항상 최종 수신지에서만 가능하다. 조각화 과정 ▶ 조각화된 패킷 IPv4의 20byte를 뺀 후, 조각화를 진행 위의 그림과 같이 MTU에 맞춰 조각화를 진행 ▶ 예시) MTU.. 3계층 IPv4 프로토콜과 ICMP 프로토콜 3계층 IPv4 프로토콜과 ICMP 프로토콜 ▶ IPv4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이지만,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될 것을 보장하지는 않음. ▶ 증복된 패킷을 전달하거나 패킷의 순서를 잘못 전달할 가능성도 있음 (악의적으로 이용되면 DoS 공격이 됨 ) ▶ 데이터의 정확하고 순차적인 전달은 그보다 상위 프로토콜인 TCP에서 보장 IPv4 프로토콜의 구조 ▶ 구조설명 Version: IP 프로토콜의 버전 ( 대부분이 4, 16진수 중 하나 ) IHL ( Hearder Length ): 헤더의 길이 표현법 = n/4 최소 20 ~ 60 Type of Service ( TOS ): 데이터의 형식으로 현재는 잘 쓰이지 않으며 0으로 비워둠 Total Length: 모두를 합친 전체의 길이를..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