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서버

(10)
축약 축약 ▶ 축약(summary)​- OSPF의 경우 Link-state 라우팅 프로토콜이기때문에 auto-summary를 하지 않는다.​- RIP과 EIGRP의 경우 수동 축약 설정이 거의 동일정보를 내보내는 인터페이스 안에서 설정​R3(config)#int s 0/0R3(config-if)#ip summary-address {rip | eigrp } x.x.x.x y.y.y.y​- 하지만 OSPF의 경우 축약 방식이 다르다.정보를 내보내는 장비의 인터페이스가 아니라 오직ABR 혹은 ASBR에서만 축약이 가능하다.즉, 동일 area 장비에게는 축약된 정보를 전달할 수없다. 오직 다른 area로 나가거나 혹은 다른 프로토콜에서 들어오는 정보만 축약이 가능하다​R2(config)#router ospf 1R2(..
GNS3 key 생성 및 적용 GNS3 Key 생성 적용 ▶ 모형 ▶ 명령어 1. 키 생성 Key chain [ 키 이름 ] Key [ 키 번호 ] Key-string [ 패스워드 ] 2. 인터페이스 적용​ int [ 인터페이스 이름 ] ip authentication key-chain [ 라우팅 프로토콜 ] [ 키 이름 ] ip authentication mode [ 라우팅 프로토콜 ] md5
자신의 사설, 공인 IP 확인하기 자신의 사설, 공인 IP 확인하기 ▶ 사설 IP 확인 cmd 창에서 ipconfig ▶ 공인 IP 확인 네이버 검색란에 내 아이피 주소 확인 검색
IP 대역 줄이기 IP 대역 줄이기 ▶ 162.10.( 0~14 ).0/24의 IP 대역 줄이기 1) IP : 10100010.0000.1010.xxxxxxxx.0000000 2) Subnet : 1111111.111111.111111.00000000 ▶ 공통된 2진수까지는 동일한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 ▶ 네트워크 쪼개기와는 반대로 나눈 서브넷 뒤에 1이 아닌 0으로 채움 ​ 1) IP 대역:162.10.0~3.0/24 10100010.00001010.000000 00 .0000000010100010.00001010.000000 01 .0000000010100010.00001010.000000 10 .0000000010100010.00001010.000000 11 .00000000162.10.0.0 /22​ 2) IP 대..
NAT와 포트포워딩 NAT ( Natwork Address Trenslation ) ▶ NAT은 IP패킷의 TCP/ 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을 말합니다. ▶ 패킷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IP나 TCP/ UDP의 Checksum도 다시 계산되어 재기록해야 합니다. ▶ NAT를 이용하는 이유는 대개 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 개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꼭 사설 IP를 공인 IP로 변환하는 데에만 사용하는 기술은 아닙니다. ▶ 일반적인 네트워크의 모습 ▶ 사실상의 네트워크 포트 포워딩 ▶ 포트 포워딩 또는 포트 매핑( Port Mapping )은 패킷이 라우터나 방화벽과 같은 네트워..
포트번호 정리 포트번호 ▶ 특정 프로세스와 특정 프로세스가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포트번호 ▶ 하나의 포트의 하나의 프로세스만 사용가능 단, 하나의 프로세스에는 여러 개의 포트 사용이 가능 ▶ 포트 번호는 일반적으로 정해져 있지만, 무조건 지켜야 하는 것은 아님 포트번호 정리 ▶ Well-Konown 포트 HTTP+Secure = HTTPS ▶ Registered 포트 ▶ Dynamic 포트 연결상태 확인하기 ▶ Netstat -ano PID: 고유 프로세스 번호 ▶ 네이버 접속 후의 피드 ▶ 확인
IPv4의 조각화 IPv4의 조각화 ▶ 조각화란 큰 IP 패킷들이 적은 MTU ( Maximum transmisson Unit )을 갖는 링크를 통하여 전송되려면 여러 개의 작은 패킷으로 쪼개어 조각화 되어 전송되어야 한다. ▶ 즉 목적지까지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에 통과하는 각 라우터마다 전송에 적합한 프레임으로 변환이 필요하다. ▶ 일단 조각화되면, 최종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재조립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며 IPv4에서는 발신지 뿐만 아니라, 중간 라우터에서도 IP 조각화가 가는 하고 IPv6에서는 IP 단편화가 발신지에서만 가능하며, 재조립은 항상 최종 수신지에서만 가능하다. 조각화 과정 ▶ 조각화된 패킷 IPv4의 20byte를 뺀 후, 조각화를 진행 위의 그림과 같이 MTU에 맞춰 조각화를 진행 ▶ 예시) MTU..
패킷 패킷 ▶ 패킷이란 데이터의 묶음 단위로 한번에 전송할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제 3계층 이상에서는 이 데이터의 묶음을 패킷이라고 부르며, 제 2계층에서는 프레임이라고 부릅니다. 이 패킷의 크기는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Ethernet의 경우는 최대 1500bytes, IEEE 802.3에서는 최대 1492bytes의 크기를 갖습니다. ▶ 패킷을 이렇게 나우어서 보내는 이유는 컴퓨터는 동시다발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한 데이터에게만 데이터를 줄 경우, 한 컴퓨터와의 통신밖에 하지 못하기에, 데이터를 나눠 모두에게 통신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중간에 에러가 날 경우를 대비함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게 되는 것입니다.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패킷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