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서버 (10) 썸네일형 리스트형 네트워크 모델의 종류 네트워크 모델의 종류 두 모델의 비교 ▶ 공통점 1. 계층적 네트워크 모델 2. 계층간 역할 정의 ▶ 차이점 1. 계층의 수 차이 2. OSI는 역할기반, TCP/IP는 프로토콜 기반 3. OSI는 통신 전반에 대한 표준 4. TCP/IP는 데이터 전송기술 특화 NAT ( Natwork Address Translation ) NAT ( Natwork Address Translation ) ▶ NAT란 가령 공유기 설정에 들어가 보셨다면 어디선가 본 듯한 단어입니다. ▶ 먼저 NAT ( Natwork Address Translation )이란 IP 패킷을 TCP/ 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을 뜻합니다. ▶ 즉, 패킷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IP나 TCP/UDP의 체크섬 ( Checksum )도 계산되어 재기록해야 합니다. NAT는 기본적으로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려되었으며, 주로 사설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하는 망에서 외부의 공인망과의 통신을 위해서 네트워크 주소를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NAT 예시 사설망과..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