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

(36)
리눅스 특수 권한 특수 권한 ▶ 일반적인 권한과는 조금 다른 특수한 권한 ▶ 종류는 다음과 같이 3가지가 있음 1) SetUID: 나머지 사용자가 파일을 실행할 때 소유자의 권한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권한 2) SetGID: 나머지 사용자가 파일을 실행할 때 관리 그룹의 권한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권한 3) StickBit: 디렉토리에 부여하는 권한, 디렉토리를 마치 자유게시판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권한 일반적으로 /tmp ( 임시 ) 디렉토리에 부여 SetUID SetGID StickyBit
리눅스 권한 실습 리눅스 권한 실습 ▶ 디렉토리 rw xlstouchcd0xxx1xxo2xxx3xoo4?xx5oxo6?xx7ooo ▶ 결과 1) 실행이 없으면 쓰기를 할 수 없다. 2) 실행이 없으면 읽기가 이상하게 된다. ▶ 파일 r w xcatvi편집기(저장)./파일 이름0 XX X1XX X2X? X 3X? X4OO X5OO O6OO X7OO O ▶ 결과 1) 읽기권한과 실행권한이 같이 있어야만 실행이 가능하다. 2) 쓰기권한이 있어도 실행권한이 없으면 파일에 덧씌운다.
리눅스 권한의 이해와 설정 방법 권한 ▶ 리눅스의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는 권한 ( 퍼미션 )을 가지고 있다. ▶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 상에 권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부분이 있다. ▶ 퍼미션들은 시스템 상에 존재하는 파일들에 대한 읽기, 쓰기, 실행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결정 ▶ ls -l 명령어로 확인 가능 ( 첫번째 필드, -rwxr-wr-- ) ▶ 이러한 퍼미션은 다중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리눅스 환경에서는 가장 기초적인 접근 통제 방법 권한 설정 방법 ▶ chmod [ 권한 ] [ 파일 또는 디렉토리 이름 ] ▶ [ 권한 ] 권한을 입력할 때는 심볼릭 모드와 옥텟 ( 8진수 ) 모드 2가지 방식을 이용하여 입력이 가능하다. ▶ [ 파일 또는 디렉토리 이름 ] 파일, 디렉토리를 지정할 때는 절대 경로 상대 결로 모두 가능하다. ..
리눅스 명령어 실습 리눅스 명령어 실습 ▶ 실습 1. 파일 이름이 ifcfg-ens33의 경로를 구하시오. 해당 디렉토리를 root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net_conf 라는 이름의 심볼릭 링크로 생성하시오. 해당 파일의 내용에서 BOOTPROTO 가 포함된 부분을 grep 명령어로 확인하시오. 2. 파일 이름이 messages 라는 파일 중 첫번째 파일의 경로를 구하시오. 해당 파일을 root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syslog 라는 이름의 심볼릭 링크로 생성하시오. 3. root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중 파일 이름에 bash 라는 단어가 포함된 파일의 이름을 나열하시오. 4. root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중 파일의 내용에 root 라는 단어가 포함된 파일의 이름을 나열하시오.
하드링크와 심볼링 링크 링크 ( Link ) ▶ 특정 파일 또는 디렉토리에 접근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 파일 시스템이 물리적인 장치인 하드 디스크 상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파일의 위치를 가리키는 것 ▶ 링크 생성 명령어 ln [ 옵션 ] [ 원본 ] [ 링크 ] 1) 옵션을 지정하지 않고 링크 파일을 생성하면 하드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 2) 옵션으로 -s 를 지정하고 링크 파일을 생성하면 심볼릭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 하드 링크 ▶ 특정 파일 또는 디렉토리에 접근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 파일 시스템이 물리적인 장치인 하드 디스크 상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파일의 위치를 가리키는 것 ▶ 하드 링크 예시 심볼릭 링크 ▶ 윈도우의 바로가기 개념과 비슷하며 실질적인 디스크 상의 파일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Linux 파일 및 디렉토리 검색 Linux 파일내용에서 검색 ▶ grep [ 옵션 ] [ 패턴 ] [ 파일 이름 ] [ 옵션 ]: 좀 더 디테일한 조건으로 찾을 때 사용 [ 패턴 ]: 찾고 싶은 내용을 입력, 일치하는 내용을 출력 [ 파일 이름 ]: grep 명령어로 특정 내용을 검색할 파일을 지정한다. 1) [ 옵션 ] -i: 대소문자 무시 -n: 줄 번호 표시 -v: 패턴을 제외한 내용만 출력 -w: 단어 단위로 검색 -c: 매칭되는 줄 수 표시 -l: 매칭되는 패턴이 있는 파일 이름 출력 2) [ 패턴 ] 정규표현식: 어떤 문자를 표현할 때 다양한 특수문자를 이용해 표현하는 방식 ^: 줄의 시작을 지정 ( 해당 패턴이 줄의 시작인 경우 캡쳐 ) ex) ^root $: 줄의 마지막을 지정 ex) root$ .: 한 문자 대치 ex)..
Linux 문서 편집기 Linux 문서 편집기 ▶ 리눅스는 마우스 커서가 없으므로 커서 이동 또한 키보드를 사용 Vi 편집기 1) 초기 시작은 명령 모드 2) 편집모드 사용을 위해서는 명령모드 -> 편집모드로 이동 3) Last Line 모드를 사용 위해서는 다시 명령모드로 가서 이동해야 됨 ▶ Command 모드 -> 가장 기번이 되는 모드, 복사, 붙여넣기, 다른 모드로 전환, 커서 이동, 삭제 등 1) 커서 이동 방향키 ( 키보드의 방향키가 없을 경우 HJKL( 상좌우하 ) ) G: 가장 마지막 줄로 이동 ( Window PgUP ) gg: 가장 첫번째 줄로 이동 ( Window PgDn ) [n]G: n번째 줄로 이동 $: 커서가 위치한 줄의 맨 끝으로 이동 ( Window End ) 0: 커서가 위치한 줄의 맨 앞으로..
리눅스 파일 관련 명령어 리눅스 파일 관련 명령어 ▶ touch: 내용에 아무것도 없는 빈 파일 생성 1) touch [ 파일 이름 ] ▶ rm: 파일을 제거하는 명령어 1) rm [ 삭제할 파일 이름 ]: 파일을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일반적으로 -r과 -f 옵션과 같이 사용, -r은 디렉토리 삭제, -f는 강제 삭제 ▶ mv: 파일 이름 변경 1) mv [ 현재 파일 이름 ] [ 현재 할 파일 이름 ]: 파일 또는 데릭토리의 이름을 바꿀 때 사용하는 명령어 ▶ mv: 파일 이동 1) mv [ 원본 경로 ] [ 이동할 경로 ]: 파일을 다른 곳으로 옮길 때도 mv 명령어 사용 ▶ cp: 파일 복사 1) [ 원본 경로 ] [ 이동할 경로 ]: 파일을 복사할 때도 cp 명령어 사용 ▶ cat, head, talil,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