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

(36)
백업 및 복구 데이터 백업 ▶ 백업과 복구의 개념 1) 언제 발생할 지 모르는 사고를 대비해 반드시 해야할 것이 ' 백업 ' 2) 기존의 폴더 또는 파일을 다른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는 것 3) Windows Server에서는 자체적으로 백업 기능을 제공 4) 백업은 별도의 하드디스크나 다른 컴퓨터의 공유 폴더에 하는 것이 필수 5) 최근에는 서버와 멀리 떨어진 원격지에도 백업 ( 클라우드 ) 6) 복구는 삭제된 일부 폴더만 복구할 수도 있고, 볼륨 전체를 복구할 수도 있다. ▶ 전체 백업 모든 데이터 전체를 백업 1) 가장 시간이 오래 걸리고 백업할 때마다 증복된 데이터도 백업하기 때문에 디스크 공간이 많이 필요 2) 가장 최근에 전체 백업을 복구하면 가장 최근의 데이터로 복구 됨 ▶ 증분 백업이전 백업에서 변경된 데..
작업 스케줄링 단일 작업 스케줄링 ▶ 단일 작업 스케줄링 명령어 나가기 ctrl + d 1) at [ 시간 ] 2) at -l: 작업 조회 3) at -r [ 작업 번호 ]: 작업 삭제 반복 작업 스케줄링 ▶ 반복 작업 스케줄링 명령어 1) crontab -e: 작업예약[분][시][일][월][요일][명령어]0~590~231~311~120~6일~토1,21-5 ex) 매주 금요일 새벽 3시 정각에 백업 명령어 수행03**6백업 매 시간 45분마다 echo 명령어를 이용해서 "Break Time" 화면에 출력45****echo "Break Time" > /dev/pts/0 짝수 월에 일요일마다 새벽 4시 반에 특정 명령어가 수행304*2,4,6,8,10,120명령어 매월 평일 오전 11시 45분이면 "Lunch Time"을..
LVM LVM ▶ Logical Volume Manager 1) 논리 볼륨을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관리하기 위한 커널의 한 부분이자 프로그램 2) 기존 방식에서는 파일 시스템이 블록 장치에 직접 접근해서 읽고/ 쓰기를 했다. 3) LVM을 사용하면 파일 시스템이 LVM이 만든 가상의 블록 장치에 읽고/ 쓰기 를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다양한 기능 제공 4) 유연한 용량, 크기 조정이 가능한 스토리지 풀 ( Pool ), 온라인 데이터 재배치 5) 편의에 따라 장치 이름 지정, 디스크 스트라이핑, 미러 볼륨, 볼륨 스냅샷 ▶ LVM의 구조 PE: 파티션 개념 ( 초기화 필요 ), 보통 4M의 크기름 가징 PV: PE를 묶어둔 것 VG: PV가 모여 된 것으로, 필요한 만큼 빌려서 사용이 가능 LE: LV를 이루는 가..
리눅스 실습 서식 ▶ 디스크 추가하기 1) fdisk -l 명령어로 확인 2) fdisk [ 디스크 경로 ] 입력 후 파티션 생성 3) fdisk -l 명령어로 확인 ▶ 파일 시스템 마운트하기 1)
디스크 관리와 RAID RAID ▶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 RAID의 종류 1) RAID 0 1) RAID 1 1) RAID 5 1) RAID 1 + 0 ▶ mdadm 명령어 1) --create: 생성할 RAID 장치의 이름 2) --level: RAID 레벨을 지정 3) --raid-devices: RAID에 추가될 실제 장치의 파티션 지정 4) --detail: 특정 장치의 상세 내역을 출력 ▶ RAID 구성 삭제 1) mdadm --stop [ RAID 장치명 ] 2) mdadm --zero-superblock [ 파티션 장치명 ] ▶ RAID 0구성 1) Linear: 디스크를 배열 형태로 단순하게 연결시킨 구조 mdadm --create /dev/md/linear --l..
디스크 관리 및 파일 시스템 디스크의 종류 ▶ IDE ▶ SATA ▶ SCSI 디스크 구조 및 관리 ▶ 하드디스크의 물리적인 구조 ▶ 데이터 저장 공간의 논리적인 구조 ▶ 디스크 관리 명령어 1) fdisk 디스크를 추가하는 과정 ▶ 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파티션, 파일 시스템 1) 물리 디스크 추가 2) 부팅 3) 파티션 설정 4) 파일 시스템 설치 ( 포맷 ) 5) 사용 ( 마운트 )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 ▶ 파일 시스템의 종류 ▶ 파일 시스템의 구조 1) Super Block: 모든 블럭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블럭 2) Inode Table: Data Blocks의 저장된 파일을 가리킴 ▶ 파일 시스템 생성 1) mkfs 마운트 및 언마운트 ▶ 특징 디렉토리와 특정 장치를 연결하는 명령어 ▶ mount [ 옵션 ] [ ..
systemd systemd ▶ init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들도 대체한 명령어 1) 리눅스를 부팅하면 커널이 가장 먼저 실행시키는 프로세스 2) 기존의 리눅스는 가장 먼저 init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init 프로세스가 필요한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 3) 기존의 init 프로세스는 단계적으로 런 레벨을 올라가며 해당 런 레벨의 rc 스크립트를 차례대로 실행 4) 하지만 init은 아주 오래전 리눅스에서부터 사용하던 아주 오래된 프로세스였고 이에 계속해서 기능이 추가되면서 프로그램들이 복잡해지다보니 효율 또한 떨어지게 되었다. 5) systemd는 가능한 한 병렬로 시작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크는 것으로 부팅 속도를 끌어올리고,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파일로는 쉘 스크립트가 아니라 service라는 systemd만의 unit..
리눅스 실습 리눅스 실습 ▶ 리눅스 기초 실습 1) 파일 이름의 ifcfg-ens33의 경로를 구하시오 2) 해당 디렉토리를 root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net_conf 라는 이름의 심볼릭 링크로 생성하시오. 3) 해당 파일의 내용에서 BOOTPROTO가 포함된 부분을 grep 명령어로 확인하시오. 1) 파일 이름이 messages 라는 파일 중 첫번째 파일의 경로를 구하시오. 2) 해당 파일을 root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syslog 라는 이름의 심볼릭 링크로 생성하시오. 1) root 사용자 홈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중 파일 이름에 root 라는 단어가 포함된 파일의 이름을 나열하시오. 1) root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중 파일의 내용에 root 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파일의 이름을 나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