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계층 (3) 썸네일형 리스트형 3계층 IPv4 프로토콜과 ICMP 프로토콜 3계층 IPv4 프로토콜과 ICMP 프로토콜 ▶ IPv4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이지만,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될 것을 보장하지는 않음. ▶ 증복된 패킷을 전달하거나 패킷의 순서를 잘못 전달할 가능성도 있음 (악의적으로 이용되면 DoS 공격이 됨 ) ▶ 데이터의 정확하고 순차적인 전달은 그보다 상위 프로토콜인 TCP에서 보장 IPv4 프로토콜의 구조 ▶ 구조설명 Version: IP 프로토콜의 버전 ( 대부분이 4, 16진수 중 하나 ) IHL ( Hearder Length ): 헤더의 길이 표현법 = n/4 최소 20 ~ 60 Type of Service ( TOS ): 데이터의 형식으로 현재는 잘 쓰이지 않으며 0으로 비워둠 Total Length: 모두를 합친 전체의 길이를.. 3계층 ARP프로토콜 3계층 ARP프로토콜 ▶ ARP 프로토콜은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MAC주소를 IP주소를 이용해서 알아오는 프로토콜 ▶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한다고 하여도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7계층부터 캡슐화를 통해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IP주소와 MAC주소가 모두 필요하며, 이 때 IP주소는 알고 있어도 MAC 주소는 모르더라도 ARP를 통해 통신이 가능 ▶ ARP는 같은 대역에서만 사용가능 ARP프로토콜의 구조 Hardware type, Protocol type, Hardware Address Length, Protocol affress Length는 모두 고유의 값을 가짐 Opcode: 세팅이 1이면 요청, 2면 답하는 것으로 세팅이 됨 ▶ ARP 프로토콜의 프로세스 발신자 .. 3계층 IP주소 3계층 IP주소 ▶ IP ( Internet Protocol )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로, 컴퓨터는 MAC주소를 사용하지만, 사람이 읽기 힘들어 읽기 편한 IP주소를 사용한다. ▶ 3계층은 다른 네트워크 대역 즉, 멀리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네트워크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제어하는 일을 담당, 발신에서 착신까지의 패킷의 경로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거리가 먼 다른 기기와 통신을 위해서는 3계층이 필요하다. ▶ IP주소 예시 ▶ 초창기의 IP 주소체계 ▶ IP주소의 역사 클래스풀A 0.0.0.0 ~ 127.255.255.255 첫번째 필드는 네트워크를 구분하는 주소, 나머지는 호스트를 구분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0 1111111.1111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