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33)
DNS 서버 DNS ( Domain Name System ) 서버 ▶ DNS 서버의 특징 1)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음. 2) 일반적으로 www.xxx.com 과 같은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면, 192.168.0.100과 같은 IP 주소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수행. 3) DNS 서버는 계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루트 DNS 서버, 최상위 레벨 서버, 책임 DNS 서버로 나누고 추가로 로컬 DNS 서버가 존재. 4) 루트 DN 서버는 전 세계에 13개 ( A부터 M까지 ) 있음. 5) 최상위 레벨 서버는 com, org, net, kr, uk, fr, ca, jp와 같은 모든 국가의 상위 레벨 서버. 6) 책임 DNS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
Kickstart Kickstart ▶ Kickstart 동일한 구성으로 여러 대의 시스템에 원격 설치 kickstart의 구성 ▶ tftp 서버 네트워크 부팅시 부팅 관련 파일을 공유할 ▶ DHCP 서버 ▶ NFS 서버 kickstart 설정 파일과 이미지 파일을 공유할 NFS 서버 ( 다른 서버도 가능 )
DHCP 서버 DHCP 서버 ▶ DHCP 동적으로 IP를 할당 받도록 도와주는 서버 4번째 PC는 104의 IP 주소를 할당받음 DHCP 서버 ▶ /etc/sysconfig/dhcpd DHCP를 수행 할 인터페이스를 지정하는 디렉토리 ▶ /etc/dhcp/dhcpd.conf DHCP에 대한 다양한 설정을 하는 파일
메모리관리 메모리관리 ▶ 메모리 커널이 관리하는 장소 1) 프로세스를 언제, 어디에 어떻게 적재할 것인지 커널이 관리 2) 리눅스는 하나의 프로세스에 4GB의 가상 메모리 주소 공간을 할당 3) 리눅스는 가상 메모리 공간에 있는 페이지 중에서 현재 작업 수행에 필요한 부분만 물리 메모리에 올려 작업을 수행 4) 물리 메모리의 공간이 부족해지면 다시 일정 페이지를 가상 메모리 공간으로 보내는 작업을 반복 ▶ 페이징 가상 메모리와 물리 메모리를 연결하는 작업 메모리 관리 명령어 ▶ free 메모리 공간을 확일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 top프로세스 정보와 CPU정보를 함께 살펴볼 수 있는 명령어 ▶ SWAP 메모리의 여유 공간을 디스크에 확보하는 명령어
부팅 USB 만들기 ISO파일로 부팅 USB 만들기 ▶ ISO파일로 부팅 USB만드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rufus-3.8 파일을 다운 후 실행시킵니다. 다운로드 링크: https://rufus.ie/ 2) 실행 후 USB 장치와 부팅시킬 OS. ISO파일을 선택합니다. 저는 Linux CentOS를 선택했습니다. 3) 시작버튼을 클릭합니다. 4) 부팅 USB 생성이 완료되었습니다.
NFS NFS ▶ Network File System 윈도우의 고유 폴더와 비슷한 개념 1) 서버에서 공유한 디렉토리를 마치 로컬 시스템 장치처럼 이용할 수 있게 개발된 파일 시스템 2) 전통적인 유닉스 환경에서는 오랫동안 네트워크에서 자료를 공유하는 방법으로 사용 3) NFS 서버가 디렉토리를 공유하면 NFS 클라이언트가 공유한 디렉토리를 마운트해서 사용 NFS 서버 ▶ /etc/exports 공유할 디렉토리 지정 파일 ▶ /etc/sysconfig/nfs 포트 설정 파일 NFS 클라이언트 ▶ mount 원격지의 파일시스템 ▶ NFS 클라이언트의 권한 nfsnobody
리눅스 로그 리눅스의 로그 ▶ 로그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의 사용 기록 1) 운영 체제나 다른 소프트웨어가 실행 중에 발생하는 이벤트나 각기 다른 사용자의 통신 소프트웨어 간의 메시지를 기록한 파일 2) 로그를 기록하는 행위는 로깅 ( logging ) 이라고 한다. ▶ 로그의 종류 syslog ▶ 실제 설정 파일의 내용 /etc/rsyslog.conf [ Facility ].[ Level ] [ Action ] 1) Facility kern: 커널이 발생한 메시지 user: 사용자 프로세스 mail: mail 시스템 관련 서비스 damon: telnetd, ftpd, httpd와 관련된 서비스 auth: 로그인과 같은 인증 관련 서비스 syslog: syslog 관련 서비스 cron: 예약작업 관련 서비스, cron..
소프트웨어 패키지 관리 설치 파일을 이용한 관리 ▶ rpm 파일 ( Redhat Package Manager ) 1) rpm 명령어 소스 코드를 이용한 관리 ▶ 소스 코드를 이용한 설치 1) ./configure: 컴퓨터 환경 설정 파일 2) make: makefile의 내용대로 컴파일 하는 파일 3) make install: 컴파일 된 파일을 설치하는 인터넷 저장소를 이용한 관리 ▶ 다양한 곳에서 운영중인 레포지터리 1) yum : 레포지터리에서 다운 및 설치하는 명령어 -yum install [ 패키지명 ] ( *: 관련 패키지 모두 설치 ) 의존성 있는 파일을 모두 설치해준다 -yum erase [ 패키지명 ]: 해당 패키지 삭제 -yum upgrade [ 패키지명 ]: 해당 패키지 업그레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