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

DNS 서버

DNS ( Domain Name System ) 서버



  ▶ DNS 서버의 특징


 1)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음.



 2) 일반적으로 www.xxx.com 과 같은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면, 192.168.0.100과 같은 IP 주소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수행.



 3) DNS 서버는 계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루트 DNS 서버, 최상위 레벨 서버, 책임 DNS 서버로 나누고 추가로 로컬 DNS 서버가 존재.



 4) 루트 DN 서버는 전 세계에 13개 ( A부터 M까지 ) 있음.



 5) 최상위 레벨 서버는 com, org, net, kr, uk, fr, ca, jp와 같은 모든 국가의 상위 레벨 서버.



 6) 책임 DNS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능 모든 기관이 가지는 서버.



 7) 로컬 DNS 서버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도메인에 대한 질의를 받고 그에 대한 응답을 해주는 서버의 역할을 수행.





  ▶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규약 프로토콜

 

  scheme://host[:port][/path][?query]


ex ) ftp ://IP주소:포트/파일이름

http://IP주소:포트/폴더이름/파일이름

도메인주소







도메인 주소



  ▶ 도메인 주소의 특징



 1) 인터넷 상에서의 주소인 URL의 일부



 2) 도메인 또는 도메인 네임 ( Domain name )은 넓게 보면 외우거나 및 식별하기 어려운 IP주소를 example.com처럼 기억하기 쉽게 만들어주는 네트워크 호스트 이름을 의미.



 3) 보통 루트 네임 서버 ( 최상위 DNS서버 이며 JANA에서 관리 ) 등록된 최상위 호스트 네임을 관리하는 도메인 레지스트리에서 관리하는 하위 호스트 네임을 이르는 말.








쿼리 및 응답의 종류



  ▶ 재귀 쿼리

 로컬 DNS 서버와 주고받는 질의와 응답








  ▶ 반복 쿼리

 로컬 DNS 서버가 다른 DNS 서버와 주고 받는 응답 




  ▶ 권한이 없는 응답

 반복 쿼리를 통해 알아온 주소







  ▶ 권한이 있는 응답

로컬 DNS가 알고 있는 주소









ZONE 영역파일



  ▶ ZONE 영역 파일

 호스트의 IP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







  ▶ bind 프로그램에서의 영역 파일 형식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Kickstart  (0) 2020.01.28
메모리관리  (0) 2020.01.28
NFS  (0) 2020.01.22
리눅스 로그  (0) 2020.01.22
소프트웨어 패키지 관리  (0) 2020.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