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38)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신의 사설, 공인 IP 확인하기 자신의 사설, 공인 IP 확인하기 ▶ 사설 IP 확인 cmd 창에서 ipconfig ▶ 공인 IP 확인 네이버 검색란에 내 아이피 주소 확인 검색 IP 대역 줄이기 IP 대역 줄이기 ▶ 162.10.( 0~14 ).0/24의 IP 대역 줄이기 1) IP : 10100010.0000.1010.xxxxxxxx.0000000 2) Subnet : 1111111.111111.111111.00000000 ▶ 공통된 2진수까지는 동일한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 ▶ 네트워크 쪼개기와는 반대로 나눈 서브넷 뒤에 1이 아닌 0으로 채움 1) IP 대역:162.10.0~3.0/24 10100010.00001010.000000 00 .0000000010100010.00001010.000000 01 .0000000010100010.00001010.000000 10 .0000000010100010.00001010.000000 11 .00000000162.10.0.0 /22 2) IP 대..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EIGRP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EIGRP ▶ EIGRP: Distance Vector + Link state ▶ 이웃 프로토콜이라 불림 ▶ Cisoco에서 만든 Cisoco 전용 Routing protocol ▶ RIP과 동일하게 Split-Horizon이 적용되고, Major 네트워크 경계에서 auto-summary가 된다 ▶ Roting 정보 전송을 위해 IP 프로토콜 88번 사용 ▶ IGRP가 발전된 Routing protocol ▶ DUAL ( Diffusing Update Algorithm )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Successor ( 최적 경로 )와 Feasible Succerssor ( 후속 경로 )를 선출 ▶ Convergence time이 빠르다 ▶ AD( Adminstartive Distance ..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팅 프로토콜 ▶ 라우터가 라우팅 테이블을 작성할 때 기준이 되는 프로토콜 ▶ 라우터의 역할: Privileged mode에서 ' Show ip route ' 확인 ▶ 목적지 네트워크와 해당 네트워크로 가기 위해서 어느경로 ( Interface ) 로 나가야하는 지의 정보를 가지고 있음 라우팅 테이블 ▶ 최적의 목적지를 가리키는 지도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 ▶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 ( Static Routing Protocol ) 1) 관리자가 직접 목적지 네트워크의 정보를 입력하는 protocol 2) Router에 관리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경로를 입력 ( 즉, 사람이 목적지에 대한 Best Path를 찾아서 직접 입력 ) 3) Statci은 정적인 프로토콜로 한번 정해놓으면 무조건 그 경로로 전송 4.. 3계층 장비 라우터 3계층 장비 라우터 ▶ 서로 다른 Network를 연결하고 Broadcast Domain을 나눈다. ▶ 경로 설정: Packet이 목적지로 갈 수 있는 경로를 확인하고 어느 경로가 가장 최적경로인지 결정한다. ▶ Routin protocol에 따라 Routing table을 작성한다. ▶ 라우팅 테이블 라우터의 구성 ▶ 라우터의 구성 ▶ 라우터의 전체적인 구성은 구조적으로 컴퓨터와 같음 1. RAM: IOS가 올라와서 실행되고, Routing table과 구성파일 ( 설정내용 )이 올라와서 동작하는 장소 ( 휘발성 메모리이기 때문에 전원을 차단하면 모든 정보가 지워진다. ) ( Running-config - 전원을 차단 시 삭제 ) 2. NVRAM: 전원을 차단해도 저장된 내용이 지워지지 않은 비휘발성 .. 통신 케이블 여러가지 통신 케이블 ▶ 네트워크 간 장비들이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케이블이 필요로 한다. ▶ 케이블의 명칭에 따른 구조 ▶ UTP 케이블의 연결방식 ( 다른 계층의 장비와 연결할 때 ) ▶ 크로스오버 방식 ( 같은 계층의 장비와 연결할 때 ) 네트워크 계층별 장비 네트워크 장비 ▶ 네트워크 장비 1 계층: 물리계층 ( Phyical Layer ) -> Repeater ( 리피티 ), Hub 2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 Date Link Layer ) -> Switch, Bridge 3 계층: Netwrok Layer ( 네트워크 계층 ) -> Router ( 라우터 ), L3 Switch 물리계층 ( Phycial Layer ) ▶ 리피터 1. 리피터: Cable 전송으로 약화된 신호를 초기화, 증폭, 재전송의 기능수행 리피터는 상위 계층에서 사용하는 MAC 주소나 IP주소를 이해하지 못하고 단지 전기 신호만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 ▶ 허브 1. 무조건 모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 리피터와 마찬가지로 전기적 신호를 증폭, LAN 전송거리를 연장시키고 여러 대.. 기본적인 라우터 명령어 Router>enable -> 유저 모드에서 프리빌리지 모드로 들어간다. (단축키 en)Router#configure terminal -> 프리빌리지 모드에서 글로벌 컨피그 모드로 들어간다. (단축키 conf t)Router(config)#hostname R1 -> 라우터 이름 R1으로 변경R1(config)#no ip domain-lookup -> 명령어를 잘못 입력하면 라우터는 Domain name으로 인식하고 다른 라우터에게브로드캐스트를 뿌려서 찾기때문에 한동안 명령어 입력을 못한다.이를 방지하기 위한 명령어 R1(config)#line con 0 -> 콘솔 라인 모드로 들어간다.R1(config-line)#exec-timeout 0 0 -> 콘솔 라인은 일정시간이 지나면 끊어지는데 이를..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