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 (3) 썸네일형 리스트형 NAT와 포트포워딩 NAT ( Natwork Address Trenslation ) ▶ NAT은 IP패킷의 TCP/ 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을 말합니다. ▶ 패킷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IP나 TCP/ UDP의 Checksum도 다시 계산되어 재기록해야 합니다. ▶ NAT를 이용하는 이유는 대개 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 개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꼭 사설 IP를 공인 IP로 변환하는 데에만 사용하는 기술은 아닙니다. ▶ 일반적인 네트워크의 모습 ▶ 사실상의 네트워크 포트 포워딩 ▶ 포트 포워딩 또는 포트 매핑( Port Mapping )은 패킷이 라우터나 방화벽과 같은 네트워.. 3계층 IP주소 3계층 IP주소 ▶ IP ( Internet Protocol )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로, 컴퓨터는 MAC주소를 사용하지만, 사람이 읽기 힘들어 읽기 편한 IP주소를 사용한다. ▶ 3계층은 다른 네트워크 대역 즉, 멀리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네트워크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제어하는 일을 담당, 발신에서 착신까지의 패킷의 경로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거리가 먼 다른 기기와 통신을 위해서는 3계층이 필요하다. ▶ IP주소 예시 ▶ 초창기의 IP 주소체계 ▶ IP주소의 역사 클래스풀A 0.0.0.0 ~ 127.255.255.255 첫번째 필드는 네트워크를 구분하는 주소, 나머지는 호스트를 구분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0 1111111.111111.. NAT ( Natwork Address Translation ) NAT ( Natwork Address Translation ) ▶ NAT란 가령 공유기 설정에 들어가 보셨다면 어디선가 본 듯한 단어입니다. ▶ 먼저 NAT ( Natwork Address Translation )이란 IP 패킷을 TCP/ 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을 뜻합니다. ▶ 즉, 패킷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IP나 TCP/UDP의 체크섬 ( Checksum )도 계산되어 재기록해야 합니다. NAT는 기본적으로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려되었으며, 주로 사설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하는 망에서 외부의 공인망과의 통신을 위해서 네트워크 주소를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NAT 예시 사설망과.. 이전 1 다음